다양한 변수 타입들


기본형

숫자를 취급하는 자료형 byte
short
int
long
float
double
문자를 취급하는 자료형 char
논리값을 취급하는 자료형 boolean
주의 사항 1.int와 short의 연산결과는 더 큰 자료형인 int형이 됨
2.byte와 short의 연산결과는 기본 정수형인 int형이 됨 
이유- 정수의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숫자 범위로 byte,short로 표현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. 그래서 특수한 경우가 아니면잘 사용하지 않는다
3.연산은 mod라고 읽음 몫! %

1.byte, short, int , long

byte 1byte
short 2byte
int 4byte
long 8byte
float 4byte
double 8byte
byte bnum; //1btye
short snum; //2byte
int inum; //4byte
long lnum; //8byte

bnum = 1; //=은 대입연산자 같다는 건 ==임
snum = 2;
inum = 3;
lnum = 8L;

float fnum; //4byte 
double dnum; //8byte

fnum = 4.0f; //같은 타입을 대입한다.
dnum = 8.0d;

2. char 타입

char 1.하나의 문자를 작은따옴표(')로 감싼 것을 문자 리터럴
2.문자 리터럴은 유니코드로 변환되어 저장 된다.

유니코드

유니코드는 세계 각국의 문자를 2byte로 표현할 수 있는
문자(0~65535)로 매핑한 국제 표준 규약이다.

자바는 이러한 유니코드를 저장할 수 있도록
2byte 크기인 char 타입을 제공한다.
또한 유니코드는 정수이므로 char도 정수 타입에 속한다.
그래서 char 변수에 작은 따옴표 '로 감싼 문자가 아니라 10진수 또는 16진수 형태로 유니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.
예를 들어 문자는 'A'는 10진수로 65고 이러한 A는 16진수로 0x0041이다.

 

char var1 = 'A' //65 유니코드
char var2 = 'B' //66 유니코드
char var3 = '가' //44042 유니코드
char var4 = '각' //44033 유니코드
char ch; //2byte

ch = 'a';
ch = 97; //'a'는 97이라는 숫자 값을 가지므로 숫자로도 char에 저장 가능하다.

3. boolean 타입

논리 값을 취급하는 자료형

boolean isTrue; //1byte

isTrue = true;
isTrue = false; // 둘 중 한 가지 값만 사용 가능.

이렇게 총 8가지를 기본 자료형이라고 부른다. 


참조형

1.String 문자열

문자열 참조형 String
String str; //

str = "a";

이것은 참조형으로 부르는지라 자료형이 아니다. 

 


 

SMALL
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java Generic11  (0) 2023.01.06
java API 10-4 Wrapper,Calendar  (0) 2023.01.06
java API 3  (0) 2023.01.03
java API10- 2  (1) 2023.01.03
java API10-1  (0) 2023.01.03

+ Recent posts